본문 바로가기

Knowhow/Study

한자숙어 [ 양 ] 조회(60)

한자숙어 [ 양 ]
조회(60)
상식 | 2005/07/01 (금) 13:23
추천 | 스크랩
良禽擇木〔양금택목〕
현명한 새는 좋은 나무를 가려서 둥지를 친다는 뜻으로, 현명한 사람은 자기 능력을 키워 줄 훌륭한 사람을 가려서 섬길 줄 앎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羊頭狗肉〔양두구육〕
양의 머리를 내걸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과 속이 일치하지 않거나 겉으로는 훌륭하나 속은 변변치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梁上君子〔양상군자〕
대들보 위의 군자라는 뜻으로, 도둑을 빗대어 이르는 말. 중국의 후한(後漢) 말, 태구현(太丘縣) 현령(縣令)의 자리에 있었던 진식(陳寔)은 인정이 많고 매사를 공정하게 잘 처리했으므로 백성들로부터 존경을 받고 있었다. 흉년이 들어 백성들의 살림이 몹시 어려웠던 어느 해, 진식이 대청에서 책을 읽고 있는데 웬 사나이가 몰래 들어와 대들보 위에 올라가 숨는 것을 보았다. 진식은 모르는 척하고 책을 계속 읽다가 아들과 손자들을 불러 모아 말하기를 "사람은 항상 스스로 부지런히 힘써 일해야 한다. 하지만 나쁜 짓을 하는 사람도 어느새 습성이 되어 악행을 하게 되는 것이지 그 본바탕이 나쁜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저 대들보 위[梁上]에 있는 저 군자(君子)도 마찬가지다."고 했다. 이 말을 듣고 양심의 가책을 느낀 도둑은 대들보에서 내려와 사죄하였다. 진식은 "자네는 나쁜 사람 같아 보이지 않네. 오직 어려웠으면 이런 짓을 했겠나!" 하고 말한 후에 비단 두 필을 주어 보냈다. 이런 일이 있고 난 다음부터는 그 고을에 도둑이 없어졌다고 한다.
良藥苦口〔양약고구〕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린다는 말.
《공자가어(孔子家語)》에 실려 있는 `양약고구'의 뜻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좋은 약은 입에 쓰나 병에 이롭고, 충언은 귀에 거슬리나 행실에 이롭다. 은나라 탕왕(湯王)은 간하는 충신이 있었기에 번창했고, 하나라 걸왕과 은나라 주왕은 따르는 신하만 있었기에 멸망하였다. 임금이 잘못하면 신하가, 아버지가 잘못하면 아들이, 형이 잘못하면 동생이, 자신이 잘못하면 친구가 간해야 한다. 그리하면 나라가 위태롭거나 망하는 법이 없고 집안에 패덕(悖德)의 악행이 없고, 친구와의 사귐도 끊임이 없을 것이다."
良志良能〔양지양능〕
교육이나 체험에 의하지 아니하고 선천적으로 알고 행할 수 있는 능력.
養志之孝〔양지지효〕
항상 부모의 뜻을 받들어 마음을 기쁘게 해드리는 효행.
養虎後患〔양호후환〕
범을 길렀다가 그 범에 물린다는 뜻으로, 은혜를 베풀었다가 도리어 해를 당함을 비유하여 이름.
魚頭肉尾〔어두육미〕
생선은 대가리 쪽이, 짐승은 꼬리 쪽이 맛이 좋다는 말.
漁父之利〔어부지리〕
어부의 이득이라는 뜻으로, 쌍방이 다투는 사이에 제삼자가 힘들이지 않고 이득을 가로챔을 이르는 말. 어느날 강가에서 조개가 입을 벌리고 볕을 쬐고 있는데 도요새 한 마리가 날아와 부리로 조개를 쪼았다. 그러자 놀란 조개가 입을 꽉 다물어 버렸다. 이렇게 둘이 한참 싸우고 있는데 이곳을 지나가던 농부가 이를 보고 힘들이지 않고 둘 다 잡아갔다는 고사(故事).
語不成說〔어불성설〕
말이 도무지 사리에 맞지 않음. 말이 되지 않음.
焉敢生心〔언감생심〕
`어찌 감히 그런 마음을 먹을 수 있으랴'라는 뜻.
言飛千里〔언비천리〕
발 없는 말이 천리를 간다는 뜻으로, 말이 빠르게 멀리 퍼진다는 말.
言語道斷〔언어도단〕
너무 엄청나게 사리에 어긋나 말문이 막힌다는 뜻으로, 어이가 없어 말로 나타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言中有骨〔언중유골〕
예사로운 말 속에 뼈 같은 속뜻이 있다는 말.
言行一致〔언행일치〕
하는 말과 행동이 같음.
如足如手〔여족여수〕
형제는 몸에서 떼어 놓을 수 없는 팔다리와 같다는 말.
易地思之〔역지사지〕
상대편의 처지에서 생각함.
緣木求魚〔연목구어〕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잡으려 한다는 뜻으로, 잘못된 방법으로 목적을 이루려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雀安知鴻鵠之志〔연작안지 홍곡지지〕
`제비나 참새 같은 작은 새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 같은 큰 새의 마음을 알 수 있으랴'라는 뜻으로, 소인은 큰 인물의 원대한 뜻을 잘 알지 못함의 비유.

'Knowhow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숙어 [ 운 ] 조회(83)  (0) 2009.02.17
한자숙어 [ 염 ] 조회(96)  (0) 2009.02.17
한자숙어 [ 숙 ] 조회(70)  (0) 2009.02.17
한자숙어 [ 새 ] 조회(81)  (0) 2009.02.17
한자숙어 [ 사 ] 조회(78)  (0) 2009.02.17